윈도우 레지스트리 (USBSTOR 키)와 setupapi.log로부터 USB 장치 내역 삭제하기
윈도우 레지스트리 (USBSTOR 키)와 setupapi.log로부터 USB 장치 내역 삭제하기
2009년 4월 21일에 Max가
이 글은 USBSTOR 레지스트리 키와 setupapi.log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두 대상물은 USB 장치가 시스템에 연결되었었다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글이 담고 있는 내용과 더불어, 독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다른 것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레지스트리 키나 파일을 그냥 지우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USBSTOR 레지스트리 키
USBSTOR 레지스트리 키는 USB 장치들이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때 생성되는 하위키를 담고 있다. Windows XP 시스템 상에서 레지스트리 키의 위치는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Enum\USBSTOR 이다.
예를 들어, 필자가 Windows XP 가상머신을 새로이 설치하고, 하나의 USB 메모리 스틱(USB thumb drive)를 꽂는다. 그러면 A subkey under USBSTOR 레지스트리 키 밑에 USB 메모리 스틱 정보를 기반으로 하위키가 생성된다. 필자는 OCZ Rally USB thumb drive를 사용하고 있다. 아래의 화면캡쳐를 참고하라.
[그림 ] USBSTOR 하위키
이 레지스트리 키와 하위키를 삭제하기 위해서, 먼저 키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사용 권한(permissions)”을 선택한다. 그리고 Everyone의 사용권한을 모두 허용해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키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
그러면, 키를 삭제했으므로 다 되었다. 정말로 그럴까?
아니, 아마도. 시스템 복구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이 키의 복사본들이 각 시스템 복구 지점에 복사되어 있을 것이다. 본인이 실행하고 있는 레지스트리 소프트웨어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만 한다. 조금 있다가 언급할 “CCleaner”조차도 레지스트리를 백업할 것인지 자동으로 물어보는 레지스트리 청소도구를 가지고 있다.
setupapi.log 평문 로그 파일
setupapi.log 파일은 Windows XP에서 %windir% 디렉토리에 위치하고 있다. setupapi.log는 시스템에 접속되었던 USB 장치의 드라이버 설치에 대한 내용과 그 이외의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은 진실로 대상물들의 작은 보물상자이고, 반드시 살펴보고 넘어가야 한다. 아래에 있는 USB OCZ Rally thumb drive를 꽂았던 가상머신 상에 존재하는 setupapi.log 파일의 화면캡쳐를 보아라.
[그림 ] setupapi.log 파일
왜 이 로그를 없애기를 원하는가?
아마도, 만약 조사자가 시스템에 접속되었었던 장치들이 무엇인지 알기를 원한다면, 그가 봐야할 것들 중에서 이 파일을 살펴보는 것이 그 중의 하나일 것이다.
로그를 제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그냥 삭제해라. CCleaner(http://www.piriform.com/ccleaner)와 같은 완전 삭제 프로그램으로 한번의 완전삭제를 해주는 것이 좋다. CCleaner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사용해야 할 것이다. CCleaner 안에 있는 모든 설정들을 확인하고, 아래의 화면 캡쳐와 동일하게 파일들에 대해서 한번의 완전 삭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일반적인 데이터 복구 기술에 의해서 삭제된 로그 파일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CCleaner가 완전 삭제를 한번 이상 하는 것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일 뿐이다. (전에 쓴 글에서 밝혔듯이,)
http://www.anti-forensics.com/disk-wiping-one-pass-is-enough-part-2-this-time-with-screenshots
CCleaner에는 완전 삭제 과정에 포함될 임의의 파일들이나 디렉토리들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가 바로 C:\windows 디렉토리에 있는 setupapi.log 파일을 추가해야 하는 곳이다. 아래의 화면 캡쳐와 같이 하면 된다.
[그림 ] 한번의 완전 삭제 - CCleaner
[그림 ] CCleaner Include Custom File
setupapi.log 파일에 어떤 내용들이 저장되는 것에 대한 보단 많은 정보를 원한다면, 마이크로소프트에 있는 이 글을 보면 된다.
http://www.microsoft.com/whdc/driver/install/setupapilog.mspx
CCleaner를 전에 사용해 본 적이 없다면, 시스템에 존재하는 여러 임시 파일들에 대해서 적용하여 사용해 보기를 권장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단순히 파일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파일을 완전히 삭제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이 글에 도움이 되는 어떤 좋은 팁이나 제안이 있다면, 아래에 답글로 추가하여 여러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을 권장한다.
연관된 글들:
1. Disable Thumbnail Caching and Wipe Thumbs.db files on a Windows XP System
2. How to Delete Google History – Google Chrome Artifacts and Google Chrome History
3. How to Delete Google History – Clear Google Toolbar History
UNetBootin - 리눅스 Live CD를 USB에 설치시켜주는 도구에
무선랜 WPA-PSK와 WPA2-PSK 방식에서 TKIP와 AES 암호화 방식 사용의 혼동
Premium,MVM
join:2002-08-22
Oak Park, MI
Authentication
Key Establishment
Datagram protection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Key Establishment between WPA and WPA2, you really don't care. In WPA2 we have it working faster and supporting pre-cached PSKs.
In datagram protection the choices are: TKIP with Michael (just called TKIP) and AES-128 in CCM mode (called AES or CCMP). Both are in WPA, but only TKIP is 'certified'. There were no changes in TKIP between WPA and WPA2. With CCM we cleaned up some issues that improves pipelining, but is not a change to the algorithm or the security boundaries.
In authentication, thee first choice is full 802.1X or Preshared keys (technically, the Key Exchange uses 802.1X KEY frames, so you are always engaging some part of 802.1X but this is quibbling).
In 802.1X there is the choice of EAP method and basically it comes down to 3 open methods: TLS, PEAP, or TTLS. Of course, both PEAP and TTLS have imbedded methods, so the is even another tree branch!
Vendors would do a great service to separate Authentication from datagram protection, as by munging it all together they confuse instead of simplify (as each vendor calls everything by different names!)
유료 온라인 WPA 키 크랙 사이트
독서 취향 테스트 결과 -> 온화한 “지중해성” 독서 취향
| 취향 설명 | 다른 취향 보기 |
|
따뜻하고 건조한 여름, 선선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겨울. 너무 춥지도 않고 너무 덥지도 않음. 지중해성 기후는 쨍하고 맑은 날씨와 일년 내내 푸근한 기온이 특징. 겨울에 한정되긴 하지만 충분한 강우량으로 목가적인 초목이 자라며, 수많은 향기 가득한 허브와 과일, 농작물들이 풍성하게 자란다. 극단적이지도, 어렵지도 않은, 언제나 맑고 밝고 풍족한. 이 기후는 당신의 책 취향을 대변해 줍니다.
출판업계의 관점에서 볼때 당신은 시장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취향입니다. 불황기에도 꾸준히 책을 사서 보는 우직한 소비자 층이며, 출판 시장의 판도를 좌우하는 침묵하는 다수이자, 베스트셀러를 만드는 가장 굳건한 지지자들이죠. 당신의 취향으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은 작가들에는 다음과 같은 이들이 있습니다. 에쿠니 가오리 정이현 |
Windows 7 의 XP mode 에서 램 크기 변경하기
CHANGING WINDOWS 7'S XP MODE MEMORY SIZE
I've been using XP mode on Windows 7 for a while and it has been proving useful to have an old XP copy available for things like compatibility testing. One issue I had is that it comes configured with only 256MB of RAM available to the virtual machine which tends to make it limp along somewhat with the hard drive thrashing away as XP tries to shuffle stuff into and out of the swap space.
I had plenty of RAM available on the host machine but it wasn't immediately obvious to me how you could increase the amount of RAM available to XP. Here's how I did it, if anyone has an easier way please let me know.
Step 1: Start up the XP Mode Virtual Machine. One way of doing this is to type "XP Mode" into the Windows 7 search box when you press the Windows pearl at the bottom left
Step 2: Once the virtual machine has started up, select "Tools" then "Settings". You'll notice that the memory size is set to 256MB but you can't change it because the virtual machine is running.
Step 3: Click on the "close" option and select the "prompt for action" radio button to allow you to opt how you want to close the virtual machine. If you don't do this it will always hibernate when you close it which isn't what we want - you still can't edit the RAM value when the virtual machine is hibernated.

Step 4: Click OK on this screen, then - and this is important - choose "File" and "settings" again and leave the dialog box open.
Step 5: Choose "Action" then "Close", and choose "Shut Down" from the drop down box. Remember you must still have the settings dialog box open at this stage.

Step 6: Once the virtual machine has shut down, you will now be able to edit the RAM value in the settings Window that you left open.

Step 7: Once you've selected the value you want, click Ok then start up the virtual machine again.
With 1GB of RAM it runs a whole lot faster and smoother that's for s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