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공유기에 날개를 달아주자~(유무선 공유기를 서버 만들기 프로젝트 4탄 - DD-WRT에서 DDNS 설정하기 (inadyn 패키지 설정))
공유기는 대부분 유동 IP를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고정 IP는 비용이 비싸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유동 IP는 공유기가 꺼지다든지 하는 상황에서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도메인 명으로 공유기를 접근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만, 이런 문제점은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DDNS(Dynamic DNS) 서비스입니다.
DD-WRT 펌웨어는 다음과 같은,
DynDNS.org
freedns.afraid.org
ZoneEdit.com
No-IP.com
3322.org
easyDNS.com
TZO.com
DynSIP.org
총 8개 업체의 DDNS 설정을 지원합니다.(확인 결과, 일부 업체는 문 닫았습니다.)
제일 유명한 곳이 DynDNS.org 이지만, 개인적 선호에 의해서(2위 업체가 항상 서비스 정신이 좋다는 믿음 때문에), freedns.afraid.org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0년 말부터 현재까지는 아무런 문제없이, 아주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DD-WRT 상단 메뉴에서 Setup -> DDNS를 선택합니다.
DDNS 항목에서,
DDNS Service 옵션을 freedns.afraid.org로 선택하고,
User Name에 가입한 사용자 ID를
Password에 가입할 때 설정한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입력한 패스워드는 그림과 같이, 검은 동그라미로 가려져서 표시됩니다.)
Host Name에 공유기에 할당할 도메인 명을 입력합니다.
freedns.afraid.org에서는 도메인 명뿐만 아니라, 특별한 인증코드를 뒤에 추가하여야 합니다.
(콤마“,” 기호로 분리하여, freedns.afraid.org에서 지정해준 인증코드를 추가합니다. - 인증코드는 freedns.afraid.org에서 가입한 사용자와 도메인명마다 다르게 생성되며, freedns.afraid.org의 Dynamic DNS 메뉴를 선택하고, 각 도메인/서브도메인의 Direct URL이나 Wget Script 파일 내용에서 볼 수 있습니다.)
Do not user external ip check 옵션은 No로 지정합니다.
Options 항목에서
Force Update Interval은 기본은 10으로 10일마다 한번씩 IP 변경 상황을 점검하도록 되어있지만,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1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위와 같은 설정을 하고, 적용시키면 바로 DDNS Status 항목에서 Syslog 형태의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설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참고할 수 있습니다.